☘️ 서비스 에서 무엇을 할수 있나요?
- 회원의 지역 내에서 그룹을 만들 수 있습니다.
- 그룹에는 다양한 지역 사람들이 참여하여 모임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.
- 이러한 모임들은 그룹에 참여한 사람이라면 누구나 참여 할 수 있습니다.
- 개인 달력을 통해 모임의 일정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- 개인의 게시판 글을 작성하여 다양한 지역 사람을 넘어 회원 누구 와도 소통할 수 있습니다.
☘️ 어떻게 시작하게 되었나요 ?
최초 고민의 시작 은 동료와 함께 넌지시 운동 같이 갈까? 라는 말에서 시작되었습니다.
2022년 새롭게 주목받고 또 앞으로 더욱 늘어날 운동에 관련된 서비스였습니다.
운동을 혼자 하는데 있어 외로움과 동기부여 그리고 본인들이 쌓아올린 지식의 공유
가 우리가 설정한 목표입니다.
우리는 당근(동네에서 이루어지는 중고거래 플랫폼), 소모임(모임을 만들수 있는 플랫폼)
영감을 받아 서비스 기획을 하게 되었습니다.
☘️ 서비스의 기획 및 구상 과정
- 최초 서비스의 구상을 위해 우리가 필요한 것이 무엇인가 알기 위해 지속적으로 소통했습니다.
- 회의의 최종 목표는 서비스를 구현하는 데 있어 우리가 생각하는 페이지가 같은지 가 주된 요건이었습니다.
- 회원과 비회원으로 써 할 수 있는 활동을 구분하여 비회원이라면? 회원이라면? 어떤 방식으로 우리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는지에 대해 각자 생각하여 정리한 것이 아래 링크 1번째 이미지입니다.
- 이에 따라 우리는 프론트 엔드 에서 어떻게 하면 우리 가 생각한 회원과 비회원의 흐름으로 갈지 고민하여
와이어 프레임을 작성해 보았습니다. 아래 링크 2번째 이미지입니다.
- ERD 1번에서 기획한 생각들을 토대로 ERD를 작성하였습니다.
- 테이블의 개괄적 구성
- 운동
- 운동에는 다양한 종목 이 존재하기에, 카테고리를 이용하여 분류를 하였습니다.
- 예를들어 구기종목 카테고리에 축구, 농구등이 들어갑니다.
- 운동에는 보다 직관적인 설명을 위해 이모지를 보여줄 것을 구상했습니다.
- 지역
- 유저와 그룹의 활동 지역으로 이용할 테이블 입니다.
- 지역은 크게 특별시, 도 기준으로 나누고, 군 구로 나누는 것을 구상했습니다.
- 유저
- 유저는 자신이 선택한 지역(최대 3개)을 이용하여 같은 지역을 선택하여 생성된 그룹을 확인 및 참여가 가능해집니다.
- 유저는 개인 만의 스토리 를 작성하여 소통을 할 수가 있습니다.
- 유저 일정
- 그룹 내에서 모임 참여/취소 데이터가 저장되는 테이블입니다.
- 그룹
- 그룹은 한 명의 유저에 의해 생성 되고 다양한 유저들이 참여가 가능합니다.
- 그룹은 운동의 테마를 정해 원하는 운동의 그룹을 유저들이 찾아갈 수 있습니다.
- 그룹은 그룹만의 스토리를 작성하고 그룹에 참석한 유저들과 소통할 수 있습니다.
- 그룹 게시판
- 그룹 내에서 작성한 스토리가 저장되는 테이블입니다.
- 모임 참여 활성이라는 컬럼을 통해 일반 게시글이냐 모임을 위한 게시글이냐를 판단합니다.
- 모임
- 그룹 게시판 테이블의 모임 참여 활성을 활성화(true) 하면 모임 테이블에 모임 정보가 저장됩니다.
- 모임 참여자
- 그룹 내에서 모임을 생성한 유저와 참여한 유저들의 정보가 저장되는 테이블 입니다.